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Application Argument
- Application Runner
- 외부설정
- WebApplication Type
- 백준
- webjar
- 리소스 서버
- OAuth2
- 브루트포스
- HttpMessageConverters
- 스프링부트
- 정적 리소스
- rest api
- 알고리즘
- JPA
- 스프링 부트
- Application Event
- Spring Security
- JsonSerializer
- AuthenticationPrincipal
- HATEOAS
- 백기선
- @Profile
- application.properties
- 다익스트라
- EnableAutoConfiguration
- @ConfigurationProperties
- cors
- 리소스핸들러
- 백트래킹
Archives
- Today
- Total
아카이브
LAN vs WAN 본문
LAN ( Local Area Network )
- 집, 사무실,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은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
- 통신 주체인 자신이 포함된 지역 네트워크
- 1대1이 아닌 공유기나 스위치 등을 이용해서 연결
- 이더넷 프로토콜을 사용 (TCP/IP)
● Ethernet : 10Mbps
● FastEthernet : 100Mbps
● GigabitEthernet : 1,000Mbps
WAN ( Wide Area Network )
- 자신이 포함되지 않은 외부 네트워크
- LAN과 LAN을 연결하는 네트워크
- 라우터를 통해 연결
● 라우터 ?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며, 로컬에서 리모트로 원거리 데이터 전송을 담당
- IP, HDLC, PPP, Ethernet 프로토콜 등을 사용
● HDLC : High-level Data Link Control
일대일 혹은 일대다로 연결된 환경에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제공
SDLC -> HDLC -> LAP -> LAPB 로 발전
● PPP :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점대점 프로콜
두 컴퓨터 간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및 관리 기능
SLIP -> PPP로 발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