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카이브

웹의 동작 원리 본문

네트워크

웹의 동작 원리

주멘이 2018. 6. 20. 15:02

웹의 동작 원리



①②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찾고 싶은 웹 페이지의 URL 주소를 입력함.

③ 사용자가 입력한 URL 주소 중에서 도메인 네임(domain name) 부분을 DNS 서버에서 검색함.

④ DNS 서버에서 해당 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찾아 사용자가 입력한 URL 정보와 함께 전달함.

 

⑤⑥ 웹 페이지 URL 정보와 전달받은 IP 주소는 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요청 메시지를 생성함.

이렇게 생성된 HTTP 요청 메시지는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 해당 IP 주소의 컴퓨터로 전됨.

 

⑦ 이렇게 도착한 HTTP 요청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URL 정보로 변환됨.

웹 서버는 도착한 웹 페이지 URL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함.

 

⑨⑩ 검색된 웹 페이지 데이터는 또 다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 응답 메시지를 생성함.

이렇게 생성된 HTTP 응답 메시지는 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을 거쳐 원래 컴퓨터로 전송됨.

 

도착한 HTTP 응답 메시지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됨.

⑫ 변환된 웹 페이지 데이터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출력되어 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됨.



TCP/IP

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(전송 제어 규약) 과 Internet Protocol (인터넷 규약) 

데이터가 어떻게 웹을 건너 여행해야 하는지 정의하는 통신 규약

운송 장치 (자동차, 자전거, 사람의 다리 처럼)


 DNS

   - Domain Name System Servers (도메인 이름 시스템 서버)

   - 웹 사이트를 위한 주소

   - 브라우저가 웹사이트를 검색하기 전에 DNS를 살펴보는 곳

   - 상점의 주소를 찾는 것

HTTP 

   - Hypertext Transfer Protocol (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)

   -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언어를 정의하는 어플리케이션 규약 

   - 상품을 주문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

컴포넌트 파일

   -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다른 파일들

       1) 코드 파일 : HTML, CSS, JavaScript 등

       2) 자원 : 이미지, 음악, 비디오 및 기타 등등 


참고링크

참고링크



'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세션 & 쿠키  (0) 2018.06.20
OSI 7계층  (0) 2018.06.18
LAN vs WAN  (0) 2018.06.13
REST  (0) 2018.06.13
HTTP vs HTTPS  (0) 2018.06.13